#frontend-development
Read more stories on Hashnode
Articles with this tag
React가 Server Component와 Concurrent Mode와 같은 새로운 변화를 들고 나온 이후 생태계는 이에 발 맞춰 함께 변화해가고 있다. NextJS 역시 React 팀과 긴밀히 협력하며 이러한 변화해 맞추어 나아가고 있다. 그리고 Next 13에서...
React 생태계는 Hook의 등장으로 한 번의 큰 변화를 거치고 근래에는 Server Component와 Concurrent Mode을 통해 한번 더 큰 변화를 거쳐가고 있다. 그리고 이제 React 19의 stable release도 그리 멀지 않아 보인다....
Core Web Vitals이란 Web service를 방문하는 유저에게 보다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지켜져야 하는 사항을 말하며 구글에서 만든 지표다. 그리고 해당 지표는 Loading, Interactivity, Visual Stability라는 세 가지...
NextJS App route가 제공하는 주요 cache기능은 Request Memorization, Data Cache, Full Route Cache, Route Cache. 이 네 가지다. NextJS 15 버전에서는 cache 관련 동작이 변경될 예정이며 해당...
Jotai는 앞선 포스트에서 살펴본 Jotai의 기본적인 기능외에 활용할 수 있는 Utility를 제공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Jotai가 제공하는 Utility에 대해 살펴보자 Resettable Atom Resettable atom은 초기 값을 기억하고 있다가...
기존 Page route를 사용하다가 App route를 접할 때 가장 혼동스러운 부분 중 하나가 바로 Server component와 Client component의 분리일 것이다.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Server component는 Server ( NodeJS...